2023. 3. 30. 12:26ㆍ반려동물
증상
고양이 바이러스성 백혈병(FeLv)은 고양이에게 전염되는 바이러스로, 이 바이러스는 고양이의 면역계를 약화시키고 다양한 종류의 암과 면역결핍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FeLv는 이러한 이유로 치료하기 어렵고, 치료하지 않으면 고양이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FeLv의 증상은 다양합니다. 일부 고양이는 감염 후 몇 년 동안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다른 고양이는 감염 후 몇 주 또는 몇 달 안에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식욕부진: 감염된 고양이는 식욕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 식욕부진으로 인해 체중 감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토 및 설사: 감염된 고양이는 구토와 설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열: 감염된 고양이는 체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호흡곤란: 호흡곤란이나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취: 구강내에 냄새가 나거나, 몸에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눈이나 코의 분비물: 눈이나 코에서 분비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자궁 질환: FeLv에 감염된 고양이는 자궁 염증, 암 등 다양한 질병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원인
고양이 바이러스성 백혈병(FeLv)은 주로 체액으로 전파됩니다. 감염된 고양이가 다른 고양이와 가까운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를 퍼뜨리게 됩니다.
FeLv는 일종의 RNA 바이러스로, 항체로 방어하기 어렵습니다. 바이러스는 주로 타액, 피, 분만물, 오줌, 유산된 태아, 각종 분비물, 유즙 및 기타 체액에서 발견됩니다.
FeLv의 전파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이러스 감염된 고양이의 타액, 오줌, 혈액 등의 체액을 먹거나 닿는 것입니다.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앞다리, 꼬리, 머리 등의 신체 부위를 말하며)을 통해 전파됩니다.
엄청난 스트레스 상황에서 전파됩니다.
감염된 고양이가 다른 고양이와 밀접한 접촉을 하면 FeLv는 다른 고양이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FeLv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는 바이러스를 분비하며, 분비된 FeLv 바이러스는 바이러스가 있는 환경에서 최대 48시간 동안 생존합니다.
FeLv에 감염된 고양이는 전파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러한 고양이도 다른 감염된 고양이와 함께 지내면 그 감염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따라서, 고양이를 입양하려면, 우선 FeLv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는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치료
고양이 바이러스성 백혈병(FeLv)에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고양이의 FeLv 예방은 예방접종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고양이는 9주 이상이 되면 FeLv 백신을 접종할 수 있으며, 이를 권장합니다. 고양이는 또한 방역 수칙을 준수하고 감염 위험이 높은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 이는 감염된 고양이와의 접촉, 야외 생활, 그리고 다른 고양이와의 생활 등이 해당됩니다.
FeLv에 감염된 고양이는 면역력이 약해져서 다른 감염병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예방접종, 적절한 영양, 적절한 치료, 스트레스 감소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FeLv 감염에 대한 특정 치료법은 없지만, 일부 증상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항생제는 고양이에게 발생하는 이차적인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항생제는 FeLv 바이러스 자체에 대해 효과가 없으므로, FeLv에 감염된 고양이의 치료에 대한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감염된 고양이를 발견하면, 가능한 한 빨리 수의사에게 상담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eLv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도 장기간 동안 잠복할 수 있으므로, 수의사와 상의하면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섭취 (0) | 2023.03.31 |
---|---|
고양이 트리코모나스증 (Feline Trichomonasis) (0) | 2023.03.30 |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0) | 2023.03.29 |
고양이 허피스바이러스(Feline Herpesvirus) (0) | 2023.03.29 |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Feline Panleukopenia Virus) (0) | 2023.03.28 |